시진핑 주석 연내 방한 성사…중국 뉴딜-한국 그린뉴딜 협력강화 노력해야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국경제의 중국의존도가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의 대(對)중국 의존도뿐만 아니라 외국인투자의 대중국 의존도도 높아진 것이다.
전경련은 올해 1~7월 수출의 대중국 비중이 작년 동기간 대비 1.5%p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올해 상반기 대한국 외국인투자에서 주요국 중 중국만이 작년 동기대비 금액(184.4% 증가)과 비중(8.2%p 증가)이 동시 증가하는 등 우리경제의 중국의존도가 높아졌다고 밝혔다.
올 7월까지 코로나19 영향으로 대EU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11.5% 감소, 중남미 34.3%, 인도가 34.5% 가량 감소하며 전체적으로 약 10.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6월 이후 대중국 수출은 플러스로 돌아서면서 대중국 수출 의존도는 2019년 1~7월 24.3%에서 2020년 1~7월 25.8%로 1.5% 포인트 높아졌다.
중국은 3월초 코로나19가 진정세에 접어드는 한편, 지난 4월17일 개최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회의에서 2019년 GDP의 11.1% 수준인 약 11조위안 (1914조원) 규모의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치며 4월부터 산업생산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했다.(2020.3월 –1.1% → 2020.4월 3.9%)
중국의 투자‧소비‧생산 등이 2∼3월 최저점을 기록한 이래 시차를 두고 빠르게 회복하고 있고 양회(5.21)에서 5G‧AI‧사물인터넷‧IDC 등 신형인프라 투자확대를 결정함에 따라 관련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중국의 경기회복에 힘입어 6월부터 한국의 대중국 수출증가율은 6개월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2020.5월 –2.5% → 2020.6월 9.7%).
주요 품목의 대중국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2020년 1~7월 대중국 수출은 주력 품목인 석유제품, LCD 등의 부진으로 전년 동기대비 5.1% 감소한 가운데도 중국의 신형 인프라 투자 확대, 원격근무‧온라인 교육 등 언택트 문화 정착, 5G 스마트폰 수요 확산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반도체)~38.3%(컴퓨터) 가량 증가했다.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지난 해 30% 가까이 줄어든 대중국 반도체 수출은 금년도 두 자리 수 수출 증가율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상반기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코로나19에 따른 국내외 기업인에 대한 국경간 이동 금지‧제한, 불확실성 증대로 신고기준 전년 동기 대비 22.4% 감소한 76.6억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일본, EU 등 주요국의 대한국 직접투자규모가 20년 상반기 중 일제히 감소하고 미국과 EU의 경우 대한국 외국인직접투자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감소했다.
이러한 가운데 주요국 중 유일하게 중국만 대한국 직접투자 금액과 비중이 동시에 증가했다.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금액은 전년동기대비 184.4% 늘어난 8.56억달러를 기록했고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 중 중국 비중은 2019년 상반기 3.0%에서 2020년 상반기 11.2%로 8.2%p 증가했다.
이는 주요국이 코로나19로 정상적인 산업생산 및 해외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가운데 중국만 3월 이후 코로나19가 진정세에 접어듦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대내외 경제활동이 가능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19년 중국의 대한국 투자가 전년 대비 –64.2% 가량 줄어듦에 따른 기저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에 따른 바이오, 비대면 업종 중심의 증가세가 뚜렷해 작년 상반기 대비 의약(7.4만%), 전기‧전자(3800%) 업종의 투자가 급증했으며 이에 힘입어 제조업 전체(290%) 대한국 투자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 동안 금융‧부동산 중심의 중국의 대한국 투자패턴의 변화가 일어나는 조짐으로도 분석된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상반기 성사되지 못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연내 방한이 성사돼 중국의 한국 단체관광 제한조치 해제 등을 통해 2016년 사드사태 이전으로 한중 경제관계 프레임워크가 정상화되기 바란다”며 “중국판 뉴딜(兩新一重)과 한국 그린뉴딜간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해서 코로나19 위기를 돌파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김 실장은 “코로나19 이후 중국 정부가 지난 5월21일 양회를 통해 중국 경제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5G기지국 건설, 신에너지자동차충전소, 빅데이터센터, 인공지능, 산업네트워크 등 중국판 뉴딜(兩新一重) 추진하고 있고 우리 정부도 그린뉴딜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한중 기업 간 각자의 강점을 발휘해 한-중 경제협력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경련 “한국 경제활동자유도 상승세…자율성 순위는 하락 중”
- 올 규제개혁체감도 93.8, 기업들 규제개혁 성과에 불만족
- 전경련 “한국 수출, 반도체 홀로 고군분투…서비스 성장 지지부진”
- 글로벌 톱100 ICT기업, 미 57·중12·일11개…한국은1개
- 전경련 “코로나19발 역대 최악 글로벌 경기, 100대 기업 2분기 해외매출 20% 감소”
- 위기의 골목상권…전경련 “ 하반기 순익 작년대비 –42.0%” 전망
- 전경련 “한국 한계기업 비중 OECD서 5번째로 높아”
- 전경련 “한국 AI, 인프라․특허 상위권 vs 인재‧정부전략‧기업환경 하위권”
- 전기차 수출 22.2%↑, 코로나 이후 시대 新 수출동력으로 부상
- 한국 기업들, 대(對) 인도 수출 15억 달러 증가 잠재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