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부문에서 ‘데이터 댐’ 구축... 산업 디지털 전환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디지털 혁신 선도기업에 투자하는 '산업지능화펀드'를 올해부터 2024년까지 4천억 원 규모로 조성해 유망기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20일 홍 부총리가 서울 수출입은행에서 연 ‘제2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디지털 혁신성장 전략을 두고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산업지능화펀드를 조성하여 초기 유망기업들의 기술 사업화를 적극 지원하는 한편,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거래 가이드라인 정비 등 데이터 활용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석·박사급 연구인력 등 산업AI 인재양성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어 “산업부문에서 '데이터 댐'을 구축해 공급망 혁신과 신제품·서비스 창출을 돕겠다며 업종별 산업 데이터 플랫폼을 확대하고 협업을 통해 기업이 직면한 문제 해결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전기차 부품업체간 수직형 협업체계 구축해 부품·운행, 환경 등 데이터를 결합·분석(AI)하여 부품 성능개선, 소모품 수명예측 서비스 제공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또 “기획·연구개발·설계, 생산공정, 유통·물류·수출 등 분야별로 축적된 데이터에 AI 기술을 적용해 새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등 산업 공급망 전반의 디지털화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하는 만큼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주력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우리의 우수한 제조기반, ICT 인프라 등을 활용한 산업 디지털 전환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디지털뉴딜 시대, 클라우드가 대세(?)... 국내 업체, 글로벌 시장 도전 시동
- 6G준비, 이르지 않다
- 워크데이 “기업 72%, 디지털 전환이 최우선 과제”
- 디지털 ‘비대면’ 시대 “이런 사업들은 ‘대박’ 터뜨릴 만 하다”
- 한국판 뉴딜 '정보축적과 환경보호가 수익이 되는 사회로 첫걸음'
- IBK캐피탈, 디지털 뉴딜·그린 뉴딜 관련 투자저변 확대 계획
- 서울중기청,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 실시
- 공매도 금지 6개월 연장, 자극받을 종목은?
- 5대 금융지주, "K-뉴딜 성공 적극 뒷받침할 것"
- K-뉴딜 지수 내 옥석가리기...펀더멘털 중요성↑
- 정부, 2025년까지 디지털 전통시장 500개 육성… 결제수수료 1%대로 완화
- 홍남기 부총리, "역내 경제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 3국간 협력 강화"
- 홍남기 부총리 "농어촌 빈집숙박 상생안 마련... 5개 이내 시·군, 총 50채·연 300일 이내 실시"
- 정부, 11월1일부터 2주간 '코리아 세일 페스타'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