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2019년·2020년 상반기 12개 채널 대상 빅데이터 분석
소비자 호감도 되레 상승, 마니아 지속 이용 탓…인스타그램, 채널별 정보량·여성 많이 이용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올 상반기 내내 국내는 물론 글로벌을 강타하면서 급성장하던 ‘스타벅스’마저 제동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스타벅스 온라인 정보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드러난 것.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16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을 대상으로 2019년 1~6월과 2020년 1~6월 두 기간을 대상으로 스타벅스 정보량(관심도)과 호감도를 빅데이터 분석해 발표했다.

조사결과 스타벅스 관심도는 지난해 상반기 158만8861건이었으나 올 상반기에는 123만5545건으로 22.24% 급감했다. 월별 정보량을 살펴봐도 올 상반기 내내 지난해에 비해 최소 19.66%, 최대 30.57% 줄었다.

(제공=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제공=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지난 5월21일부터 전국 매장에서 ‘여름 e-프리퀀시 이벤트’를 전개했던 5월 관심도가 가장 많이 낮아진 것은 예상외 결과다.

스타벅스 게시물들에 대한 감성어를 살펴본 결과 소비자 호감도는 오히려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스타벅스 게시물들의 긍정률은 34.24%였으나 올 상반기엔 37.31%로 3.07%P 상승한 반면 부정률은 지난해 상반기 7.55%에서 올 상반기 7.25%로 0.3%P 낮아졌다.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뺀 값인 순호감도도 지난해 26.69%에서 올 30.07%로 3.38%P 높아졌다.

(제공=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제공=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한편 스타벅스에 대한 올 상반기 채널별 정보량을 살펴본 결과 인스타그램이 47만6086건으로 전체 38.54%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 눈길을 끌었다.

이어 블로그가 43만2286건으로 34.99%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두 채널의 정보량이 73.53%로 12개 채널 전체 4분의 3에 가까웠다.

인스타그램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들이 많이 이용하는 SNS로 사진 중심의 직관적 채널이어서 여성들이 자신의 SNS에 사진을 게재할 목적으로 스타벅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는 방증이다.

(제공=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제공=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 이현숙 빅데이터분석보도센터장은 “관심도 하락에도 불구하고 호감도가 오히려 상승한 것은 스타벅스 마니아 층이 두텁게 형성돼있다는 뜻”이라며 “다만 서머 레디백 사태에서 볼수 있듯이 상술·꼼수 마케팅 등 논란도 있는 만큼 스타벅스의 감성 마케팅이 지속적으로 성공할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