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글로벌 1위 업체 셀렉타(Selecta) 인수 이후 시장 지배력 지속 강화
양어 사료뿐 아니라 축산∙반려동물, 식품 분야로 사업 확대…2020년 연 매출 7000억 원 목표

브라질 CJ셀렉타 소속 연구원이 연구를 하고 있다. /사진=CJ제일제당
브라질 CJ셀렉타 소속 연구원이 연구를 하고 있다. /사진=CJ제일제당

[애플경제=이해리 기자] CJ제일제당이 1조 원 규모의 글로벌 농축대두단백(SPC) 시장에서 4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압도적 1위를 유지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6월 글로벌 1위 농축대두단백 업체인 브라질 '셀렉타社(Selecta)'를 인수해 같은해 8월 'CJ셀렉타(CJ SELECTA S.A.)'를 출범시킨 이후 시장 지배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다.

17일 CJ제일제당에 따르면 농축대두단백은 콩으로 식용유를 만들고 남은 부산물인 대두박(大豆粕)을 원재료로 단백질 함량을 높인 고단백 사료 원료다. 발효대두박과 함께 대표적인 식물성 고단백 소재로 분류된다. 주로 양어 사료의 원료로 쓰이며 기존에 주요 단백질원으로 사용되던 어분(魚粉)을 대체하는 미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 규모는 약 1조 원 규모로 추정되는데, CJ제일제당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4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ADM(미국)이나 까라무루(브라질) 등의 경쟁기업을 멀찌감치 제치고 시장 1위에 올라있다. 

농축대두단백은 기존의 동물성 소재인 어분의 단점을 보완하는 식물성 소재로 향후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어분의 경우 원재료인 물고기의 어획량에 따라 가격 변동이 심한 데다가 물고기의 상태에 따라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기 힘들다. 반면 농축대두단백은 식물성 원료인 콩으로 만들어 균일한 품질 관리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수급량의 변동성이 낮아 안정적인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어분에 비해 항생제나 중금속 축적 등의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점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사료원료로 인식돼 글로벌 대형 사료기업들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다. 사료 원료 시장에서 농축대두단백을 비롯한 식물성 고단백 소재의 비중도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CJ제일제당은 1990년대만 해도 전체 양어사료의 단백질원에서 어분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70%에 육박했지만 현재는 농축대두단백이나 발효대두박 같은 식물성 원료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CJ제일제당은 농축대두단백 및 가공부제품으로 연 5000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글로벌 양어 사료 시장에서 안정적인 생산능력과 함께 차별화된 R&D(연구개발) 경쟁력으로 품질면에서도 시장 1위에 걸맞은 역량을 갖췄다는 평가다. 1년전 셀렉타를 과감히 인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CJ제일제당은 사업 영역 확대에 나서고 있다. 현재 양어사료 중심의 농축대두단백 수요를 소나 돼지, 닭 등의 축산사료 영역뿐 아니라 반려동물용 사료, 나아가 식품용 농축대두단백 분야까지도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생산역량 증대에도 나서 오는 2020년까지 농축대두단백 및 가공부제품으로 연 매출 7000억 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CJ제일제당은 라이신과 트립토판 등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사료용 아미노산과 농축대두단백의 조합을 통해 가축의 성장을 돕고 특정한 효능을 보유한 기능성 사료원료 연구개발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