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데드 크로스’ 진입…“본격 하락세” 조짐

8만8천~8만9천달러 구간 이탈? “8만5천달러 아래로 추락” 50일 이동 평균이 200일 이동 평균 하향 교차, ‘장기 약세 모멘텀’ 이더리움, 두 개의 EMA 교차 직전, ‘데드 크로스’ 발생 가능

2025-11-20     엄정원 기자
비트코인에 대한 미리아드 시장 예측 이미지. (출처=미리아드)

[애플경제 엄정원 기자] 비트코인 반등일까, 아니면 더 큰 고통일까? 비트코인이 전형적인 약세 패턴을 형성하면서 기술적 전망이 악화되고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하며 수개월 만에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디크립트의 모회사인 ‘다스탄’(Dastan)의 시장 예측 플랫폼 미리아다(Myriad)의 시장 예측 트레이더들은 현재 강력한 약세 전망을 내세우며 향후 더 낮은 최저가를 예상하고 있다.

차트는 어떨까? 지표들은 아직 고통이 끝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최근 몇 달 동안 고점 부근에서 매수했던 암호화폐 트레이더와 투자자들은 과열 현상이 사라지고 시장이 침체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약 88,000달러까지 하락, 지난 30일 동안 20% 이상 하락했다. 20일 암호화폐 시장 전체는 3조 400억 달러로 24시간 만에 4.82% 하락했으며, 전체 코인의 95%가 적자를 기록했다. ‘공포와 탐욕 지수’는 4월 이후 최저치인 16을 기록하며 극심한 공포 상태에 빠졌다. 시가총액 상위 50위권 코인 중 ‘Zcash’만이 이날 4% 상승하며 유일하게 상승세를 유지했다.

그런 가운데 미국 등의 거시 경제는 그다지 좋지 않다. 12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감소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ETF는 5일 연속 자금 유출(어제 블랙록에서만 5억 2,300만 달러의 사상 최대 규모)을 기록했다. 2026년에는 암호화폐 시장 침체 가능성이 더욱 심각해짐에 따라 투자자들은 헤지 수단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미리아드’는 투자자들이 더 큰 폭락을 예상하고 있다. 미리아드의 자금 중 무려 73.3%가 비트코인이 11만 5천 달러까지 급등이 아닌, 8만 5천 달러까지 폭락할 것이라는 데 베팅하고 있다. 이더리움의 경우, 미리아드 사용자들은 현재 약 2,800달러에 거래되고 있는 ETH가 4천 달러까지 상승한 후 2천 5백만 달러까지 하락할 확률을 62%로 예상하고 있다. 과연 그런 예측이 맞을까?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이미지. (출처=디크립트)

비트코인, 20일 하룻만에 4% 이상 하락

비트코인은 20일 9만 2,911달러로 개장했지만, 곧바로 절벽 아래로 떨어져 4% 이상 하락한 현재 가격인 8만 8,605달러를 기록했다. 단 하루 만에 4천 달러가 하락한 것이다. 비트코인은 심리적 저항선인 9만 달러 아래로 다시 한번 밀려났고,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수 이동 평균(EMA)은 단기, 중기, 장기 자산의 평균 가격을 추적, 트레이더가 추세를 파악하게 한다. 만약 단기 50일 이동 평균이 장기 200일 이동 평균보다 낮으면 일반적으로 매도세가 시장 구조를 장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비트코인의 경우, 50일 이동 평균이 200일 이동 평균을 하향 교차하면서 장기 약세 모멘텀을 나타내는 ‘데스 크로스’ 패턴을 형성했다. 비트코인은 현재 두 이동 평균보다 훨씬 낮게 거래되고 있다. 이는 “상승세가 의미 있는 회복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회복해야 하는 ‘강력한 저항선’을 형성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상황이 심각한 부분은 바로 이 대목이다. 방향과 관계없이 ‘추세’ 강도를 측정하는 ‘평균 방향 지수’(ADX)가 38.25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ADX 수치가 25를 넘으면 강한 추세가 형성되고 있음을, 35를 넘으면 매우 강한 추세를 나타낸다. 이는 “현재 하락 추세가 약하고 방향성이 없는 급락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즉, 이번 매도세에는 실질적인 모멘텀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공포 지수, 즉 ‘Crypto Fear and Green Index’에서 ‘극도의 공포’ 수치를 보이는 것과도 맞닿는 것이다.

비트코인의 상대강도지수(RSI)는 27.12로 폭락하며 30 이하 과매도 영역에 확고히 진입했다. RSI는 최근 가격 움직임을 기반으로 자산의 과매수 또는 과매도 여부를 측정한다. 지난 27일 간 비트코인은 고무줄처럼 늘어났다. 이는 매도가 즉시 중단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급격한 반등 가능성이 높아지는 소진 수준에 접근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격이 6월 이후 유지되어 온 지지선(현재는 저항선)을 곧 ‘시험’할 것임을 의미할 수도 있다.

추세 전환 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스퀴즈 모멘텀 지표’가 약세 충동 신호를 보이고 있다. 즉, 압축이 하향 완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그렇다면 미리아드 예측가들이 8만 5천 달러라는 목표치를 설정한 것은 정확할까?

시장은 일단 지표를 통해 분명한 시그널을 보여주고 있다. 84,451달러 부근에서 피보나치 지지선을 보여주고 있으며, 71,486달러 근처에서는 더 강력한 지지선을 보인다. 비트코인이 현재 ‘시험’ 중인 88,000달러~89,000달러 구간을 이탈한다면, 85,000달러 이하로의 움직임을 막을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는게 미리아드의 분석이다.

그러나 과매도 RSI는 85,000달러까지의 하락은 지속적인 하락보다는 단기적인 반등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기도 한다. 흔히 이런 움직임은 차입 자본을 사용,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베팅하는 ‘레버리지 롱 포지션’의 마지막 포지션이 모두 사라지면 격렬하게 반전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11만 5천 달러까지 상승하려면 비트코인이 ‘데스 크로스’를 회복하고 10만 492달러 부근의 하락 추세선을 돌파해야 한다. 미리아드는 ‘이는 26.7%의 트레이더만이 이더리움에 베팅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 만큼 실현되기 어려운 조건이란 얘기“라고 했다.

이더리움 하락세를 보여주는 미리아드 시장 예측 이미지.

이더리움, 더 강한 하락 모멘텀, 과매도 영역 간신히 넘어

비트코인의 상태가 좋지 않다면 이더리움은 더욱 심각하다. ETH는 20일 시가 3,121.7달러에서 6.73% 하락한 2,911.8달러로 마감했으며, 하루 중 최저가는 2,895.8달러였다. 비트코인과 달리 이더리움의 50일 지수이동평균(EMA)은 여전히 ​​200일 지수이동평균(EMA) 위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는 강세 신호로 여겨지는 ’골든 크로스다. 그렇다면 ETH는 왜 폭락하는 것일까.

골든 크로스는 장기적인 추세 구조가 온전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그 추세 내에서 급격한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은 차단하고 있다. 즉, 이더리움은 골든 크로스에도 불구하고 두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강세 구조가 심각한 시험을 거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상황은 곧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두 개의 지수이동평균선(EMA)이 교차하기 직전이기 때문에, ETH가 며칠 동안 하락한다면 여기에서도 ‘데스 크로스’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이더리움의 ADX는 42.4여서, 비트코인보다 훨씬 극단적이다. 트레이더들은 이를 매우 강력한 추세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추세는 확고한 약세다. ETH의 ‘스퀴즈 모멘텀 지표’(Squeeze Momentum Indicator) 역시 약세 신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ETH 보유자들에게 특히 고통스럽다. 이더리움이 더 강한 하락 모멘텀(높은 ADX)을 보이지만, RSI가 30.92로 과매도 영역을 간신히 넘어 30선에 근접해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강한 하락 추세가 RSI를 과매도 상태로 몰아넣은 후, 반전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을 야기하는 것이다.

현재 ETH 차트는 $2,796 부근에서 지지선을, $2,300 부근에서 더 강한 지지선을 보여준다. 미리아드 사용자들은 현재 하락세를 강력히 지지하고 있으며, 이더리움이 $2,500 이하로 하락할 확률이 거의 67%에 달하는데, 이는 기술적 분석과 일치한다.

이더리움은 200일 지수이동평균선을 유지하려면 $2,700~$2,800 구간(피보나치 레벨로 표시)을 유지해야 한다. 이 구간이 돌파될 경우, 다음 지지선은 $2,300~$2,500 부근이며, 이는 대부분의 미리아드 사용자들이 예상하는 수준이다.

그러면 $4,000에 베팅하고 있는 나머지 33%는 어떻게 될까? 이를 위해서는 ETH가 $3,100~$3,200 구간을 회복해야 한다. 그래서 이 지지선을 유지하고 여러 저항선을 돌파해야 한다. 물론 거시경제 상황이 개선된다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적인 상황은 이를 뒷받침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