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칼라’ 사용자 연봉이 최고…‘파이썬’보다 많아
‘티오비’ 순위 30위권 불구, 개발자 ‘몸값’은 최고 인기 ‘파이썬’ 제쳐 “데브옵스, 통합 아키텍처 개발 등 더 중요한 업무” 때문
[애플경제 이윤순 기자] 2년 여가 넘도록 개발자들 간에 가장 인기가 높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파이썬’이다. 그러나 최근 해외 시장조사에 따르면 ‘스칼라’(Scala) 언어에 능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업계에서 가장 높은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칼라’는 티오비(TIOBE) 언어 인덱스에선 11월 현재 3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 빈도나 인기도 측면에선 50위권에 들긴했지만, 그럼에도 최상위 10위권에 진입한 적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새로운 설문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스칼라’ 프로그래밍 언어에 능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업계에서 가장 높은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가 해외 소프트웨어 업체인 젯브레인즈(JetBrains)의 ‘2024년 연례 개발자 생태계 보고서’다. 이는 23,262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지난 1년 동안 그들의 업무에 가장 많이 사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도구 및 기술에 대해 다양한 조사를 벌인 결과다.
해당 보고서에는 젯브레인즈사의 ‘개발자생태계 데이터 플레이그라운드’(Developer Ecosystem Data Playground)에 대한 링크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는 개발자의 경험 수준,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와 지역에 따라 개발자 급여를 추정하는 ‘IT 급여 계산기’가 있다.
언어별로 각 국가 또는 각 지역별로 상위 사분위 급여를 받는 최고 급여 직원의 비율을 순위를 매겼다. 그 결과 최고 급여를 받는 개발자의 37%가 ‘스칼라’(Scala)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몸값이 가장 높은 개발자일수록 ‘스칼라’를 사용한다는 의미다.
Go, 코틀린, C 등도 비교적 고연봉
그 뒤를 이어 나머지 5개, 즉 Go(35%), Kotlin(34%), C(33%), C++(32%) 순으로 고연봉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셸 스크립팅(31%), Java(30%), Python(29%), Rust(27%)가 그 뒤를 이었다.
눈길을 끄는 것은 ‘티오비’ 인기 및 사용 빈도 순위와는 사뭇 다르다는 점이다. 즉, 파이썬이나 C, C++, 자바 등 빅5 언어들은 고연봉 여부와는 무관한 셈이다. 그저 다수의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할 뿐이란 얘기다.
실제 언어별 급여 수준을 비교해보면 베스트셀러인 ‘파이썬’은 ‘스칼라’에 한참 못미친다. 해당 보고서가 인용한 영국의 경우 1~2년 경력의 파이썬 개발자보다 같은 경력의 C# 개발자가 월급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젯브레인즈는 “개발자들의 급여가 반드시 언어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발자의 구체적인 직무 역할이 급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원인을 분석했다. 예를 들어, ‘셸 스크립팅’은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가장 높은 급여를 받는 언어 중 하나로 꼽혔다. 즉 데브옵스라는 통합적 아키텍처를 총괄하므로 당연히 급여도 높을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성별 임금 격차도 여전히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프로그래머의 28%가 상위 4분의 1에 해당하는 급여를 받는 반면, 여성은 그 비율이 19%에 불과하다.
AI 코딩 도구, 본격적으로 일상화
그런 가운데 소프트웨어 개발 업계에선 대부분의 프로그래머가 일상적인 워크플로에서 AI 코딩 도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중 가장 많은 개발자들이 챗GPT를 사용한 적이 있고, 그런 경우 주로 코딩이나 각종 SW개발 관련 업무에 정기적으로 이 도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깃허브 코파일럿은 개발자가 사용하는 두 번째로 인기 있는 AI 도구다. 이 역시 많은 응답자들이 이를 사용해본 것으로 나타났고, 상당수가 정기적으로 업무용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많은 개발자나 코더들이 AI의 필요성을 분명히 인식하곤 있지만, 이런 새로운 AI도구가 장기적으로 받아들여질지는 두고 볼 일”이라고 했다. 그러나 코딩이나 각종 개발 관련 활동에 AI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정보 검색의 편리함이나 검색 기간 절약 등의 이점을 얻는다는데엔 이의가 없었다.
가장 많은 응답자들이 “반복적인 작업을 더 빨리 완료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점”을 꼽았고, 새로운 기술 획득이나, 프레임워크 및 언어에 대한 학습 시간 단축, 코딩에 필요한 정신적 노력 감소, 전반적으로 향상된 코딩 및 개발 경험 등도 AI도구의 이점으로 지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