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소기업과 지역사회엔 ‘애물단지’?
전력 등 에너지 비용 급증, “소기업, 소비자에 전가” “건설 보조금 제한, 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절감 유도해야”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AI 데이터 센터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는 AI 시대의 큰 숙제로 떠오르고 있다. 급기야는 그로 인한 전기 등 에너지 비용 상승이 소비자와 소규모 기업에 전가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전기 요금이 엄청나게 치솟을 수도 있다.
더욱이 데이터센터는 일자리 창출이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에 비해 전력난과 비용 증가 등 부당한 ‘기회비용’을 소비자와 중소기업에게 안긴다는 지적이다.
‘데이터 신설 반대’ 움직임도 거세
아직 국내에선 이를 실감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일부국과 미국 일부 지역, 남미 등 데이터센터 밀집도가 큰 지여에선 이는 현실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런 점을 미리 우려한 때문에 일부 지역에선 주민들의 ‘데이터센터 신설 반대’ 움직임도 잇따르고 있다.
주민들과 지역사회의 이런 우려는 결코 기우가 아니다. 실제로 권위있는 새로운 연구들에 의하면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면서 데이터센터 개발로 인한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최근 미국의 잭 켐프 재단과 시장조사기관 ‘Capital Policy Analytics’(CPA)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rudd 소비자와 소기업들은 데이터 센터 전력 소비로 인해 에너지 요금이 70%나 상승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CPA의 한 연구자는 “그럴 경우 가뜩이나 인플레이션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소규모 기업은 운영을 축소하거나, 직원 수를 줄이거나 운영을 완전히 중단해야 할 수도 있다”고 ‘Wccftech’에 밝혔다. 그는 또 “데이터 센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2030년 경에는 연간 전기 요금을 몇 배나 더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욱이 데이터 센터 확장이 가속화됨에 따라 소비자와 중소기업은 날로 전기 요금 인상과 정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모든 원인은 역시 AI다. 해당 보고서는 “향후 10년 동안 데이터센터는 AI 기술의 도입과 발전으로 인해 한층 확산되며, 그 숫자가 기하급수로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수 년내 데이터센터 절반이 전력난 야기”
공신력있는 다른 연구에서도 이와 비슷한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가트너 보고서는 최근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2/5(40%)가 AI로 인해 2027년까지 전력난 등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맥킨지 보고서는 “AI로 인해 2030년까지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수요가 3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즉 유럽에서만 현재의 62테라와트시(TWh)에서 150TWh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란 얘기다.
이에 소비자와 중소기업을 에너지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국내도 마찬가지다. 본격적으로 데이터센터가 늘어나면서 향후 국내 소기업과 소비자들도 과도한 전력요금에 시달릴 가능성이 크다.
해당 보고서는 그 해결책으로 AI 기업들의 책임을 거론했다. 즉 “AI 기업들이 소비자와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추가로 소요된 에너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즉 소비자와 소기업 대신 데이터센터에 더 높은 요금을 부과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미 미국의 경우 “주정부도 데이터 센터 건설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해당 보고서 역시 “데이터 센터는 일자리를 거의 창출하지 못하고 지역 경제에 대한 파급 효과도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또 규제기관들도 에너지 절약 조치를 시행하는 데이터센터에겐 요금을 인하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세금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도 제기되었다. 이와 함께 또 다른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데이터 센터 개발자나 건설자가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과 같은 솔루션을 활용하고, 태양광, 풍력, 핵과 같은 대체 에너지원을 발굴하는 것이다. 그래서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허용하면서도 깨끗한 에너지 전환을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