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일자리 위협?…위기의 ‘SW엔지니어’ 군단
‘AI에이전트’의 AI엔지니어링, 인간 SW개발자 대체? 가트너 “충분히 가능한 일, 새 기술로 재무장해야 살아남아” ‘AI 에이전트’ 조종, 자연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RAG 기술 필수
[애플경제 김예지 기자] IT산업의 핵심 인력으로 군림해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에게도 위기가 닥칠까. AI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SW 개발 등에도 AI엔지니어링이 본격화되면서, 이들 SW엔지니어들의 설 자리가 좁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지금의 수준을 뛰어넘는 새로운 첨단 기술로 재무장해야 한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가트너는 이런 현실을 수치로 표현하고 있다. 즉, 직업 환경이 변모함에 따라 SW엔지니어들의 80% 가량은 2027년까지 AI엔지니어링에 대처할 만한 기술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해당 기술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과 운영 전반에 걸쳐 새로운 역할을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즉 새로운 기술로 무장해야 ‘새로운 역할’을 창출하며, 일자리를 지킬 수 있을 것이란 얘기다.
AI엔지니어링 시대, 3단계별 생존 방안?
가트너는 SW 엔지니어들이 새로 익혀야 할 기술을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눠 그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AI엔지니어링 도구가 발달하는 단계별로 SW엔지니어가 살아남기 위한 기술이기도 하다.
우선 단기적으로 AI 도구는 개발자의 기존 작업을 지원, 생산성을 적당히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모습은 이미 개발 현장에서 진행 중이다. 이 단계가 지나면 드디어 ‘AI 에이전트’가 엔지니어링에 본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한다. 특정 개발 작업의 완전한 자동화를 구현하면서, 기술과 직업 전반이 진화하며 대부분의 코드가 AI에서 생성되는 ‘AI 네이티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이 등장한다.
이런 상황, 즉 ‘AI 네이티브’ 시대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선 ‘AI 우선’의 사고방식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주어진 작업에 가장 관련성 있는 컨텍스트와 제약 조건을 해결하며, ‘AI 에이전트’를 조종하는게 SW엔지니어의 주된 역할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이런 경우 “자연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나,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이 SW엔지니어에게 필수가 될 것”이라는게 가트너의 조언이다.
장기적으로 보면, AI 기술이 더욱 강력해짐에 따라 AI 엔지니어링이 증가하게 된다. 그럴수록 “AI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숙련된 개발자가 점점 더 필요할 것”이라는게 가트너의 예상이다. 즉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려면 새로운 종류의 소프트웨어 전문가인 AI 엔지니어가 필요한 셈이다. 물론 이 경우 AI 엔지니어는 그에 합당한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은 물론, 데이터 과학, AI, 머신러닝(ML) 분야에서 자신만의 숙련된 기술을 보유해야 한다. 그런 경우 “이러한 기술 보유자를 찾는 기업은 무척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 기술로 무장하면 AI가 SW엔지니어 완전 대체 불가
특히 기업은 ‘AI 개발자 플랫폼’에 투자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이러한 플랫폼은 AI 역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데이터 엔지니어링 기술이나, 플랫폼 엔지니어링 팀의 기술 향상이 그런 경우다.
그럼에도 AI가 인간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를 줄일 수 있다는 예상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술로 무장한 SW엔지니어의 역할이 유지되는 한, AI가 인간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인간의 전문성과 창의성은 복잡하고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기때문”이라는게 가트너의 의견이다.
이처럼 기존 엔지니어들의 기술 향상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많은 기업들은 AI 도구에 맞서 ‘도전’에 나서려는 엔지니어들을 점점 많이 찾고 있다는 분석도 따른다. 예를 들어, 올해 초 AWS의 조사에 따르면 일부 기업은 AI 기술을 보유한 기술 근로자에게 급여를 31% 더 지불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또한 취업 정보 회사 ‘Indeed’의 다른 조사에 따르면 “오히려 AI 기술은 근로자에게 더욱 픙족하고 보람 있는 일자리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는 평가도 있었다. 이에 따르면 실제로 가장 높은 급여를 받는 기술직의 절반은 AI와 관련이 있으며, 평균 급여는 174,000달러(한화 약 2억3천만원)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