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경찰, ‘VR’ 접목한 훈련으로 역량 키워

몰입형의 심층적 훈련, 위험하고 예측불가 시나리오 적용 미국 비롯, 멕시코시티, 네덜란드 경찰 등 본격 접목

2024-08-27     이지향 기자
사진은 '메타버스페스티벌 2023'에 참가한 업체의 체험 부스로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애플경제 이지향 기자] 가상현실(VR)기술이 각국에선 경찰 훈련에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직업 경찰관이 검거와 방호 기술을 향상시키고, 몰입형 경험을 통해 숙련된 기량을 갖출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에 관한 각국의 사례를 종합해보면, 특히 치안이 불안한 미국의 경우 정작 경찰 훈련 기간은 6개월도 채 안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동원된 것이 바로 가상 현실 기법이다.

전문가들은 “VR을 사용하면 안전하고 몰입형 훈련 환경에서 보다 심층적인 훈련을 할 수 있다”고 장점을 강조한다. 특히 위험하고 예측할 수 없는 시나리오를 포함한, 실감나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

VR훈련, 실제 상황 재현

VR은 많은 경찰 훈련 응용 프로그램 중에서도 가장 실제 상황에 가까운 몰입형 경험을 제공한다. 통적인 훈련 방법에 비해 학습과 성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시뮬레이션 환경과 상호 작용, 마치 실제 현장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로라 기싱의 연구에 따르면 VR은 경찰 훈련 도구로서 훈련의 특정한 위험 상황에 대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 직면했을 때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전술을 습득함으로써 절박하고 위험한 순간에 대처할 준비를 더 잘 갖출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의사 소통, 긴장 완화 또는 검거나 개입 등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는 얘기다. 이를 통해 특정한 상항이나 사건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더 잘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VR기술 접목으로 다양한 이점

VR전문매체인 AR포스트에 따르면 VR을 경찰 훈련 도구로 사용할 경우 특히 기대할 만한 이점들이 있다.

우선은 경찰관의 안전이다. VR을 경찰 훈련에 사용하면 신체적 피해의 위험 없이 실제 상황과 똑같은 시나리오에 몰입할 수 있다. 무엇보다 현실적인 시뮬레이션을 겪을 수 있다. 실제 세계의 인물들과 동일한 반응을 이끌어내는 현실감있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찰은 현장에서 유사한 상황에 직면하기 전에 가능한 한 많은 경험을 얻을 수 있다.”는 얘기다.

또한 확장 가능하고 ‘사용자 정의’가 가능한 솔루션이다. 훈련 아카데미나 조직에서 변화하는 요구 사항이나 사례에 맞는 맞춤형 시나리오를 만들 수도 있다. 또한 경찰을 현실적인 시뮬레이션에 노출시킴으로써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및 의사 소통 기술을 연마할 수 있다. VR 훈련은 점점 더 스트레스가 많거나 위험도가 높은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도록 수정할 수도 있다.

경찰 VR 훈련의 실제 사례

미국을 비롯한 해외 각국에선 이미 VR을 경찰 훈련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미국 새크라멘토 경찰서의 경우 몰입형 비디오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를 재현한다. 경찰의 문화적 역량을 키우고, 암묵적 편견을 극복하는 훈련을 한다. 또한 적절한 의사 결정과 동료 와의 협업 능력도 키운다.

역시 미국의 로스앨러모스 경찰서도 지난 2021년에 VR 기술을 적용, 경찰에게 보다 효과적인 긴장 완화 전술을 훈련하기 시작했다. 멕시코시티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최초로 경찰을 위한 ‘가상현실 훈련 센터’를 설립했다. 훈련 센터의 목표 중 하나는 경찰이 위험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비상 상황에서 반사신경을 강화, 성과를 개선하도록 돕는 것이다.

또한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 대처하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가르치는 VR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특히 경찰이 자주 마주치는 실제 문제를 기반으로 한 10가지 시나리오가 있다.

네덜란드 경찰도 다양한 시나리오를 겪도록 훈련하는 VR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했다. 이는 또한 네덜란드 경찰에게 편견 극복 훈련을 제공, 지식을 넓히고 인종 프로파일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