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5G’, 지난 1년간 2배로 늘어났다

2023년까지 이음5G 30개 기업·기관, 54개소로 확대 제조, 의료, 물류, 교육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범위 넓혀

2024-01-03     이보영 기자
사진은 5G를 활용, 외부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모습으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  국내 이음5G 이용이 지난 1년 간 전년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음5G는 토지, 건물 등 특정구역 단위로 구축함으로써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의 5세대(5G) 이동통신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는 통신망이다. 지난 2021년 12월 네이버클라우드가 국내 1호 사업자로 주파수를 할당받아 처음 도입되기 시작했다.

그 후 2022년에는 제조, 의료, 물류 등 9개 분야 26개소에서 사용하기 시작했고, 2023년에는 자동차, 조선, 철강, 교육 등 14개 분야 54개소로 확대, 활용범위가 전 산업 분야로 확산하고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그 결과 지난해 연말 현재 전국 30개 기업·기관 54개소로 확대되었다.

주파수 할당은 통신사업자가 기업·방문객 등 타인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해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주파수 지정은 기업이나 기관이 무선망 활용을 통한 자기 업무‧R&D 등의 추진을 위해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음5G 구축을 통한 사례는 우선 제조 분야에서 기존 와이파이(Wi-Fi)에 비해, 안정적이고 빠른 데이터 처리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실시간 관제를 통해 중대재해 예방 서비스다.

물류 분야에서도 개인디지털단말(PDA)의 신속하고 안전한 데이터 처리로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켰다. 사무실에선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기반의 자율주행로봇이 도시락, 음료, 우편, 택배 등을 개인에게 배송할 수 있다.

병원에선 환자의 컴퓨터단층촬영(CT)/자기공명영상(MRI) 등의 검사결과를 3차원 증강현실(3D AR) 및 실시간 비대면 협진으로 정밀 수술을 할 수 있다. 또 28㎓을 활용한 실감형 가상현실(VR) 기반의 다자간 협업 전투, 박격포/대공화기 운용 및 전투 등 군사 교육 등이 있다.

이 밖에 인공지능(AI), 가상모형(디지털트윈), 증강현실(AR), 확장현실(XR),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등 디지털 기술이 이음5G와 연계하여 수요기업에게 맞춤형 융합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디지털 기술 공급기업도 이음5G와 더불어 시장에서 성장할 것이란 기대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그간 이음5G의 확산을 위해 이음5G 제출서류와 신청절차를 간소화하고 기간통신사업 등록 시에 외국인 주식소유 지분 제한을 제외하는 등 제도를 개선했다. 또 국내·외 최신 구축 사례 및 장비·단말 공급 현황 등 종합정보제공을 위한 홈페이지(eum5gportal.kr)를 개설하고, 세미나도 개최했다. 주파수 신청절차 및 기술 지원을 위해 찾아가는 사전 상담(컨설팅)도 실시하고 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그간 이음5G의 확산을 위해 이음5G 제출서류와 신청절차를 간소화하고 기간통신사업 등록 시에 외국인 주식소유 지분 제한을 제외하는 등 제도를 개선했다. 또 국내·외 최신 구축 사례 및 장비·단말 공급 현황 등 종합정보제공을 위한 홈페이지(eum5gportal.kr)를 개설하고, 세미나도 개최했다. 주파수 신청절차 및 기술 지원을 위해 찾아가는 사전 상담(컨설팅)도 실시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이음5G가 활용될 수 있도록 15건의 실증사업을 통해 참고기준(레퍼런스)을 제시했다. 이음5G 스몰셀의 속도를 3Gbps까지 향상시킨 기술개발도 완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