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산업, "메타버스로 품질관리, 생산성 높인다"

종근당, 제약업계 최초 정부 ‘메타버스 팩토리 구축 지원 사업’ 선정 중기부 지원 대상, "천안공장과 동일한 가상 제조시설 구현" "1인 다설비 구축·AI 분석 통한 공정 과정 문제 예방 및 해결"

2023-06-14     전윤미 기자
종근당은 메타버스 팩토리 구축사업 킥오프 회의를 가졌다.(왼쪽 네번째부터 우측으로 스마트제조혁신단 안광현 단장, 종근당 황주영 이사, 임픽스 이상호 대표)(사진:종근당)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생성형 AI 등이 바람을 일으키면서 지난해 이후 메타버스 분야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는게 해당 업계의 얘기다.

이에 정부는 최근 일부 유망기업들을 선정, 메타버스 팩토리를 적극 구현함으로써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이 진행하는 ‘2023년 메타버스 팩토리 구축 지원사업’도 그 대표적인 사례다. 중기부는 이를 위해 각 산업 부문별로 지원 대상 기업을 선정, 메타버스 팩토리 기술을 점차 확산시켜나간다는 계획이다.

국내 제약업계에선 최초로 이번에 메타버스 팩토리 구축 지원기업으로 선정된 것으로 알려진 종근당 관계자는 “메타버스 팩토리를 추진하기 위한 킥 오프 회의를 14일 가졌다”면서 “본사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과, 미국 식품의약품(FDA) 인증 등을 위한 핵심 요건 중 하나인 ‘클린룸’ 관리를 메타버스 공간 안에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사측은 또 “원격 설비제어를 통해 교차 오염을 방지해 제품의 품질 향상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에 따르면 먼저 생산 환경에 대한 최적 공정값을 AI로 분석한 후, 이를 메타버스 플랫폼에 구현한다.

이를 바탕으로 양방향 제어기술을 활용해 실제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다. 특히 “천안공장의 기존 시스템과의 상호 연계를 통해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종근당은 또한 “이번 사업으로 공정, 설비, 품질관리를 통합한 가상 플랫폼을 구축하여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1인 다설비 구축으로 생산성 혁신을 추구하겠다”고 밝히면서 “2024년 2분기까지 메타버스 팩토리를 현장에 적용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업은 스마트 제조 솔루션 전문회사 임픽스와 디자인 회사 토브웍스가 컨소시엄으로 참여하고 한양대학교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자문단을 맡아 진행된다.

이미 널리 알려져있다시피, 메타버스 팩토리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제 공장과 동일한 쌍둥이(트윈) 공장을 가상 공간에 구축하는 통합 가상 플랫폼이다.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확장현실(XR) 장비와 메타버스 솔루션을 활용하여 공간적 제약 없이 실제 생산현장과 동일한 수준으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종근당 관계자는 “국내 제약업계 최초로 메타버스 팩토리 구축사업에 선정된 만큼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 사례를 만들 것”이라며,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천안공장의 제조 공정을 혁신해 안정성과 품질을 모두 갖춘 의약품을 공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과 메타버스 팩토리 구축 확산을 위하여 이번 사업을 통해 구현되는 시스템을 전시회나 온‧오프라인 견학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대중에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