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커넥티드카, 한국 특허 출원 증가율 세계2위
출원인 숫자는 4위, ‘5G-V2X 기술’ 출원은 엘지·삼성이 세계 1·2위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전 세계 5G연결 차량(커넥티드카) 출원이 최근 10년(’11년~’20년) 사이 연평균 16.4%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한국이 연평균 25.5% 증가하면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넥티드카는 다른 차량이나 교통 및 통신 인프라, 보행자 단말 등과 실시간으로 통신하며 운전자의 편의와 교통안전을 돕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다.
최근 특허청이 한국, 미국, 중국, 유럽연합, 일본 등 주요국 특허청에 출원된 전 세계 특허를 분석한 결과, 2011년에 2,077건이었던 출원량이 10년 사이 연평균 16.4% 성장하여 2020년에는 8,116건에 달했다.
출원인 국적을 살펴보면, 중국이 34.7%(19,103건)으로 가장 많은 출원을 했고, 2위인 미국 은 23.3%(12,831건), 3위인 일본이 20.8%(11,456건), 4위인 한국이 8.6%(4,731건)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평균 증가율을 보면 중국(31.4%)이 역시 가장 높지만, 한국은 25.5%로 두 번째로 빠르게 증가했다. 일본(9.2%)과 미국(8.5%)은 평균(16.4%)보다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런 추세라면 멀지 않아 일본을 추월할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통신 연결 차량 기술은 △차량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기술, △차량이 주변 사물과 소통하는 방법인 통신 기술로 구분된다. 서비스 분야에서는 중국이 36.8%로 가장 많은 출원을 하였으며, 통신 분야에서는 미국이 41.0%로 1위를 차지하여, 기술 분야별로 차이를 보였다.
주요 출원인을 보면, 일본의 토요타(5.8%, 3,207건)가 최다 출원인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현대자동차(3.2%, 1,757건)가 뒤쫓고 있으며, 3위는 혼다(2.6%, 1,450건), 4위는 포드(2.6%, 1,404건)가 뒤를 이었다. 세계적 자동차업체들이 통신 연결 차량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출원인 중에선 현대자동차 외에도 엘지(1.8%, 991건)가 6위, 삼성(1.2%, 646건)이 11위, 만도(0.4%, 200건)가 33위 등으로 다출원인 리스트에 올랐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통신 기술 가운데 차량이 주변 사물과 5세대(5G)로 소통하는 5세대-브이투엑스(5G-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에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엘지(18.5%, 286건)와 삼성(18.1%, 279건)이 이 분야 출원 1, 2위를 차지했다.
한편 커넥티드카는 주변 사물과 소통하여 유기적인 차량 흐름과 효율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빠른 응답이 가능한 5G기술과 결합하면서 자율주행의 안전성을 크게 높여줄 것으로 보인다.
커넥티드카의 세계 시장규모는 2022년 285억 달러에서 매년 18.4%씩 성장하여 2032년에는 1,53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커넥티드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기술 개발도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