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생성AI’ 기술, 美 추격? “통제․검열이 관건”
바이두, 챗GPT수준의 ‘어니 봇’ 개발, “자체 검증 후, 검색엔진과 연계” 정부, 인터넷감시기구 ‘사이버보안국’ 신설, 빅데이터․AI기술 감독, 통제 中 ‘초거대AI’ 특허, 미국과 비슷…‘정치․사회적 상황’이 기술발전의 변수
[애플경제 김향자 기자]챗GPT 등장을 계기로 서방 언론, 특히 미국의 유력 매체들은 중국의 AI기술에 대해 긴장된 시선으로 주시하고 있다. 바이두 등 중국의 대표적인 기업들은 이미 미국의 GPT 등장을 전후해 초대형 생성AI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R&D를 진행해왔다. 다만 AI와 빅데이터 기술에 대한 중국정부의 강력한 통제하에서, 얼마 만큼 기술 발전을 이룰 것이냐 하는 것이 문제다.
바이두 ‘어니 봇’, 오픈AI와 비슷한 수준
중국의 바이두와 알리바바, 넷이즈 등은 이미 지난해 오픈AI가 GPT기술을 본격적으로 상용화할 무렵부터, 이미 초대형 생성AI에 대한 투자와 R&D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특히 바이두는 챗GPT의 중국판 버전인 ‘어니 봇’(Ernie Bot)을 개발, 자체 테스트를 거친 후 조만간 출시를 앞두고 있다. 나아가선 자사의 검색 엔진과도 연계할 계획이다. 이는 구글 검색엔진은 물론, MS의 빙(bing)에 버금가거나, 이를 뛰어넘는 수준이 될 공산이 크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른바 ‘국가 안보’ 차원에서 빅테크나 AI 기술개발을 철저히 감독, 통제하는 범위에선 전폭적인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덕분에 바이두와 알리바바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은 AI 투자를 크게 확대하며, 기술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강미정 연구위원은 “정책 당국은 (중국 최대 차량 호출업체) 디디추싱(滴滴出行)의 美 증시 상장(으로 심한 규제를 가한) 이후 국가안보 및 공익 보호 등의 명목으로 플랫폼 기업 규제를 강화하였으나, 최근 기조를 완화하고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며 이같은 분위기를 전했다.
중국 당국, 최근 상당 수준 규제 완화
그런 가운데 중국 내 AI 챗봇 스타트업 설립도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산업연구원을 인용한 스타티스타(Statista) 자료에 의하면 올해 초 중국 AI 관련 기업 수는 약 250만개에 달하며, 그 중 1~5년 내 설립한 기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에 따르면 2022년 중국 내 ‘생성 AI’ 스타트업들이 유치한 투자 금액은 지난해보다 무려 7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챗GPT의 기반이 되는 ‘초거대 AI’ 특허 출원 수의 경우 2020년 기준 1만 3천건으로 미국(1만 5천여 개)을 바짝 뒤쫓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강 연구위원은 “베이징시 정부는 AI 선도 기업들을 대상으로 ‘초거대 AI 언어’ 모델 개발에 대한 지원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만 지난해 4만 명이 넘는 인재를 유치했다”고 전했다.
‘생성 AI’ 스타트업 급증, ‘어니 봇’ 매개변수 GPT3.5보다 많아
그런 노력에 힘입어 바이두가 마침내 3월 중으로 중국판 챗GPT라고 할 만한 ‘어니 봇’을 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두는 자체 테스트가 끝나는대로 AI 챗봇을 공개할 예정이며, 검색기능이나 전기차, 스마트 비서 등 자사의 플랫폼과 연계하는 매뉴얼을 연구하고 있다.
‘어니 봇’은 일단 독립형 앱으로 출시된 다음, 점차 바이두 검색 엔진과 통합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바이두는 그 동안 검색 데이터 축적과 방법 등에서 구글이나 MS를 따라잡을 만한 실력을 축적해온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어니 봇’의 대화 생성 플랫폼인 플래토3(PLATO-3)의 매개변수는 2,600억 개에 달한다. 이는 챗GPT(GPT-3.5)의 1,750억 개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그렇다고 아직은 섣불리 중국이 미국이 초대형 생성AI기술을 따라잡을 것으로 단정하긴 이르다는 평가다. 뉴욕타임즈는 지난 7일자 ‘테크’ 섹션에서 “기술적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AI 챗봇의 경우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슈에 대한 검열 및 통제 가능성 등으로 상용화가 제한될 수 있다는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 통제가 초대형AI 기술의 미래 결정"
이 신문은 “특히 데이터 기술은 중국에서도 차세대의 대표적인 차별화 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나, 그럴수록 (중국 당국의) 엄격한 통제가 필요한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파악했다.
뉴욕타임즈는 또 “시진핑 주석 치하에서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데이터에 대한 통제를 확대했다. 2021년에는 기업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규정하는 새로운 규칙을 발표했다.”면서 “개인 데이터와 사이버 보안 등에 대한 감독권이 중국의 강력한 인터넷 감시기관인 중국 사이버 공간국에게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그러면서 “이 기관을 통해 중국 정부는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하고 배치하고 있다”고 베이징 주재 미국의 리서치 전문가의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이같은 중국 특유의 정치․사회적 상황 변수가, 빅데이터와 광대한 매개변수 혹은 자유로운 가상데이터 기술에 토대를 둔 ‘초대형 생성AI’ 기술 발전의 가늠자 역할을 할 것이란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