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전기차 충전망 박차, ‘테슬라도 자의반타의반 협조’
자사 광역 충전망, 다른 차종에 개방, “머스크, IRA법 비판적 태도 바꿔” 백악관 “테슬라 개방 참여로 전국적 충전 네트워크 확보에 한층 속도”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미국 정부가 북미 권역에서 생산한 전기자동차에게 거액의 보조금을 주고, 이를 위한 전국적인 충전망을 갖추는 등 ‘IRA’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이런 조치에 대해 비교적 소극적이었던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도 자사 충전망을 차종에 상관없이 모든 차량에 개방하는 등 연방정부에 적극 협조하는 자세로 돌아섰다.
15일(현지시각) 이런 사실을 보도한 ‘월스트리트저널’은 “그 동안 ‘IRA’법에 비판적이었던 머스크가 정부 공적 자금을 받기 위한 타협책으로 선회한 것으로 해석된다.”며 “공적 자금으로 지어진 충전시설은 모든 차량이 이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연방 정부 공적 자금 받기 위한 타협책?
앞서 미 연방 정부는 이미 고속도로 충전기에 대한 지원금 50억 달러를 각 주 정부에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는 학교, 상점, 아파트 등지에 충전기를 설치하는 임시 보조금으로 계획된 25억 달러 중 첫 번째인 7억 달러에 해당한 것이다.
전국에 걸친 전기차 충전기망 설치는 바이든 행정부가 ‘청정 에너지 제조’를 명분으로 내세워 자국산 전기차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부분이다. 이아 함께 지난해 내세운 ‘IRA’법에 따라 미 정부의 보조금을 받으려면 충전기 최종 조립이나, 철 또는 강철로 된 충전기 인클로저, 시설 제작이가 미국 내에서 즉시 시작되어야 한다. 또 2024년 7월까지 모든 전기차 부품 중 최소 55%를 미국 내에서 조달해야 한다.
이같은 제도에 따라 충전망 설치에 대한 연방 자금이 지원되고, ‘IRA’법에 따라 보조금과 세액 공제 혜택이 이뤄짐에 따라 실제로 미국 내 전기차 산업은 한층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그러나 일론 머스크는 처음엔 이같은 정책에 비판적이었다. 테슬라가 이미 중국 등지에 거대한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는 현실에서 이는 자사에게 결코 이롭지 못한 법이었기 때문이다. 그른 ‘IRA’법이 공표된 후 이를 비판하면서 “전기차 충전에 대한 연방 기금 지원도 불필요하다”고 했다. 그 때문인지 당시 머스크는 트위터를 통해 ‘테슬라가 다른 전기차 제조사와의 백악관 회의에 초대받지 못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백악관은 이날 “테슬라가 몇 시간 동안 주차할 수 있는 전국의 호텔과, 다른 장소에 설치된 자사의 ‘데스티네이션 충전기 네트워크’를 추가로 개방하기로 정부측과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렇게 되면. 차종에 무관하게 모든 전기차 운전자들이 어댑터를 사용하여 충전기를 활용할 수 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이날 백악관은 “테슬라 측이 자사의 충전기 네트워크의 일부를 다른 종류의 차량에 처음으로 개방할 것”이라며 “이 조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제안된 수십억 달러의 연방 지원금을 이 회사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생긴다”고 밝혔다.
처음엔 비판적이었던 머스크가 결국 연방 지원에서 배제되지 않기 위해 결국 손을 든 셈이다. 결국 이를 계기로 미국 내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는 급속히 광역망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다.
테슬라, 전국 3500개 자사 충전시스템 개방
실제로 백악관에 따르면 테슬라는 내년 말까지 최소 3500개의 신규 및 기존 250kW 충전기를 모든 종류의 EV 운전자에게 개방할 계획이다. 급속 충전기는 약 30분 안에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지만, 어떤 종류의 EV에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제품은 아직 보급되지 않고 있다. 자동차 회사별로 각자의 충전 시스템에 맞춘 제품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연방정부가 목표로 하는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서, 미국 고속도로 전역의 범용 충전망 공급이 부족한 실정이다.
테슬라는 이미 1,650개 이상의 위치에 17,700개 이상의 급속 충전기를 보유하고 있지만, 다른 회사의 차량은 사용할 수 없다. 이 회사의 충전망 네트워크는 운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고, 업계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이란 평가다. 백악관은 “테슬라가 이번 개방조치를 위해 충전 네트워크를 3배로 늘릴 것”이라고 했다.
테슬라측은 이에 관한 공식적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아직 해결해야 할 세부 조건들도 많다. 또 개방에 동의하기까지 머스크의 속셈은 따로 있다는 분석도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사실 작년에 테슬라가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 공적 자금을 신청했다”면서 “만약 공적자금이 승인된다면, 공공 자금으로 만들어진 충전기를 당연히 다른 차종의 전기차가 사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공적자금'이란 잿밥때문에 이런 양보를 할 수 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그러면서 "실제로 이미 유럽 일부 지역에선 다른 차종 운전자들이 테슬라의 충전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