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 시장, ‘아트테크(Art Tech)’ 억만장자들 속출

시장 침체 속에서도 예술품 컬렉션들은 호경기, 美 상위 5% 부호군 진입 ‘지루한 원숭이 클럽’(BAYC) 10만달러 이상 최고가 기록, ‘NFT예술가’ 시대 열어 BAYC 비롯, 크립토펑크스, 아더디드 포 아더사이드, MAYC, 클론 X, 문버즈 등

2022-08-28     전윤미 기자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NFT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NFT예술가들은 호시절을 향유하며, 억만장자가 속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암호화폐·블록체인 뉴스사이트 ‘crypto and blockchain news’가 진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위 10% NFT 예술가들의 수입은 4만 1,000달러 이상으로 미국 상위 5% 소득에 맞먹는 것으로 전해졌다. NFT 컬렉션 중 가장 비싼 것은 BAYC(Bored Ape Yacht Club)이며, NFT 거래를 할 때 가장 선호되는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으로 나타났다. 현재 NFT 시장은 암호화폐 시장 침체기와 맞물려 위축세지만 ‘아트테크’(Art Tech) 시장으로서의 장기적인 전망은 밝다는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이에 따르면 NFT 예술가들의 상위 35%는 미국 최저 임금보다 많이 벌고, 상위 20%는 최소 연 9만 6,000 달러를 달성하며, 상위 10%는 미국에서 상위 5%의 소득 문턱에 들어갈 만큼 벌어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oin Market Cap’에서 NFT 컬렉션 2,675건의 글로벌 NFT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것을 토대로 하고 있다. 지난해 7월 12일부터 화폐전환을 이용해 NFT 아티스트의 평균 급여를 산출한 결과, 지난 30일 동안 NFT 미술품의 평균 가격은 작품당 $232.24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NFT 컬렉션의 평균 30일 매출은 NFT 평균 가격과 월 183개 판매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총 4만2천499.92달러로 계산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월 매출액이 8,000달러에서 4,150만 달러에 이르는 NFT 아티스트의 상위 20%는 연간 최소 9만6,000달러의 매출을 올리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이는 건축가, 엔지니어, 또는 패션 디자이너보다 이른바 ‘성공적인 NFT 예술가’들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중 NFT시장 상위 10%는 지난 30일 동안 4만 1,000달러 이상을 벌어들였고, 미국 내 상위 5%의 소득 한계선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중위소득은 121.47달러였고, NFT 소장품 중 하위 35%는 매출이 제로 상태여서 NFT시장에서도 ‘양극화’를 보이고 있다.

또 상위 25%는 NFT 아트 컬렉션에서 최소 월 3천773.63달러 또는 시간당 21달러를 벌며, 작품당 평균 가격은 862달러로 집계되었다. 이 계산은 지난 30일 동안의 판매 수치를 사용하여 주당 40시간을 기준으로 잡은 것이다. NFT 컬렉션 중 가장 비싼 것은 BAYC(Bored Ape Yacht Club)로서, 최근 30일 기준 NFT당 평균 가격이 101.96 ETH, 즉 10만8,948달러를 기록했으며, 지난 30일 동안 매출로도 가장 많은 4,315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컬렉션 당 NFT 자산의 평균 개수는 5,589개로서, 소유권의 평균 비중은 39%에 달했다. 이더리움은 여전히 NFT 구매에 사용되는 1차 암호화폐로 군림하고 있으며, 전체 NFT 컬렉션 거래의 절반 이상(55.14%)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솔라나와 바이낸스 달러가 각각 22.42%와 21.57%의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 30일 동안의 판매 수익별 상위 10개 NFT 컬렉션을 보면 ▲BAYC(Bored Ape Yacht Club)가 거래량 368개, 매출 4,150만 달러를 올렸고, ▲크립토펑크스(CryptoPunks)가 528개, 매출 3,770만 달러, ▲아더디드 포 아더사이드(Otherdeed for Otherside)가 4,690건, 2,540만 달러, ▲ MAYC(Mutant Ape Yacht Club)는 991개, 2,090만 달러, ▲클론 X는 1,001개, 1,370만 달러, ▲ 문버즈(Moonbirds)는 535개, 1,300만 달러, ▲ 고블린타운(goblintown.wtf)이 2,912개, 1,270만 달러, ▲두들즈(Doodles)가 652건, 1,060만 달러, ▲문러너즈(Moonrunners)가 2만 2,349개, 900만 달러, ▲아즈키(Azuki)가 612개, 매출 850만 달러의 거래 실적을 각각 올렸다.

암호화폐 매체 ‘Crypto.news’는 이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전통 예술과 마찬가지로 NFT의 가치는 매우 주관적일 수 있지만, NFT는 소유자들이 독점적인 공동체에 접근할 수 있는 BAYC의 커뮤니티처럼 소유주들에게 추가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타성은 NFT 가치를 높이는 결정적 원인”이라고 해석했다. 이 매체는 또 “현재 암호화폐의 가격의 변동성으로 인해 NFT의 가치도 덩달아 휘청이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NFT의 예술적 가치는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