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연, 국내 최초로 ‘위성항법시스템’ 개발한다

한반도 인근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 제공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2022-07-18     김향자 기자
사진은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애플경제 김향자 기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이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Korean Positioning System)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한반도 인근 지역에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성항법시스템을 개발·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위성항법시스템이 제공하는 위치·항법·시각 정보는 교통·통신·금융 등 국가 핵심 인프라를 운용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다. 특히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 등 신산업 분야에서도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더욱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오는 2035년까지 14년 간 총 3조 7,234.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KPS 위성시스템‧지상시스템‧사용자시스템을 개발하고, 총 8기의 위성을 궤도에 배치할 계획이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여러 차례 지구관측위성을 개발해 왔으나 항법위성의 개발은 처음 시도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를 위해 위성항법분야의 기술과 경험이 가장 풍부한 미국과 협력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항우연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은 역대 최대 규모의 우주개발사업으로서 민간 우주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내비게이션 등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일반 국민 누구나 그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또한, 기존 위성항법시스템보다 훨씬 정확한 미터급·센티미터급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율차·도심항공교통과 같은 신산업 육성에 기여하는 등, 향후 우주경제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이를 위해 항우연의 독립사업본부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개발사업본부가 18일 출범했다. 이 기구는 앞으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연구개발을 총괄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금년에 사업을 착수한 후 5년 후인 2027년에는 위성1호기를 발사하고, 2034년에는 시범서비스를 한 후 2035년에 위성을 배치하게 된다.

한편 항우연에는 별도의 위성총조립시험센터도 개설되었다. 위성조립총시험센터는 위성 조립과 진동환경시험·열진공환경시험·전자파시험 등 위성 개발에 필요한 각종 시험을 한 곳에서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시설이다. 앞으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위성의 조립·시험도 이뤄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