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장애? SKT나 LG유플러스로 자동 복원”
“이통3사 협력체계, 한 곳 통신망 장애시 다른 통신사 유선망으로 정상 가동” 과기정통부 “네트워크 안정성 대책”…“지난 10월 KT불통과 같은 사태 예방”
[애플경제 진석원 기자] 네트워크가 장애를 일으키거나, 문제가 발생할 때 빠르게 복원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었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 간에 협력체계를 마련해서 그 중 한 곳에 장애가 생겨서 이용자들이 애로나 불편을 겪을 경우, 또 다른 통신사들의 유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 등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이는 지난 10월25일 KT의 인터넷망 장애로 인하여 큰 혼란을 겪었던 사례가 되풀이되지 않게 하기 위한 조치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번 KT네트워크 장애 사고로 국가 기간통신망의 중요성이 재확인되었다.”면서 “2018년 아현사고 이후 물리적 재난 예방 대응이 중점 추진됐으나 최근 인적오류, 자연재해 등 내 외부적 요인이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어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배경을 밝혔다.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과기정통부의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은 △통신재난 예방 대응강화, △네트워크 생존성 확보 역량 강화, △재난 발생 이후 네트워크 장애 복원력 제고, △‘네트워크 안정성 제고 제도 개선’의 4대 과제로 구성됐다.
‘네트워크 장애 복원력 제고’
통신사간 협력체계를 통해 장애를 일으킨 통신사의 자체적 복원력을 강화하되, 이용자에게는 다양한 예비 복원수단이 제공될 계획이다. 전국적인 유선망 장애가 발생할 경우, 무선망 이용자가 타사 유선망을 경유하여 접속할 수 있는 ‘통신사간 백업체계’가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국지적인 무선망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통신사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하는 로밍 규모가 1.5배로 확대될 수 있다. 특히 “통신재난 위기경보 ‘경계’ 발령 시에 공공, 상용 와이파이를 개방하고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통합 식별자(Public WIFI Emergency)를 별도 송출할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소상공인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백업서비스 계획도 마련됐다. 소상공인 휴대폰으로 테더링(무선통신)을 통한 판매시점정보관리시스템(POS) 결제기기의 무선통신 기능을 개발한다. 중장기적으로 표준 공용단말 등 관련기술 개발을 통해 재난 시 주회선을 대체하여, 서비스 제공시에만 요금을 부과하는 무선 백업요금제도 검토될 예정이다.
‘네트워크 안정성 제고 제도 개선’
앞으로는 문자 메시지(SMS)나 카카오톡, 라인 등 메신저를 통해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이를 고지하도록 제도가 개선된다. 또한 사전 기술관리 조치의무, 서비스 안정성 확보 의무, ‘네트워크 안정성 조치 현황 연차보고서’등에 대한 제도적인 근거도 마련된다. 기간통신사업자에게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의 사회적 책임도 부여된다. 이용자의 알권리 보장과 네트워크 안정성에 대한 통신사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네트워크 안정성 조치 현황 연차보고서’를 공개하는 제도가 추진될 계획이다.
‘통신재난 예방 대응 강화’
우선 주요기간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오류 예방대응 체계가 강화된다. 전국망에 영향을 주는 코어망 오류를 막기 위해 코어망 전체를 사전점검하는 ‘모의시험체계’를 도입한다. 승인된 작업자, 장비, 작업시간만 허용토록 작업관리 중앙통제를 강화하는 ‘중앙시스템통제방식’을 시행하기로 했다. 통신재난의 신속하고 통합적인 상황인지와 대응을 위해 ‘이상감지 대응시스템’을 구축할 것도 검토하고 있다.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정의네트워크(SDN)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유지, 관리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인공지능이 문제를 자동으로 예측하여 알리거나, SDN으로 네트워크도 자동 관리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시험과 연구를 통한 개선이 어려운 기간통신망의 특성을 고려해 사전 시험용 ‘디지털 복제물(트윈)’ 개발도 추진된다.
‘네트워크 생존성 확보 역량 강화’
네트워크 오류로 통신망 장애 등이 발생할 경우 기능이 최대한 유지되도록 네트워크 구조를 개선한다. 코어망 계층화를 통해 코어망 계층간 오류 확산을 막는 안전장치가 마련한다. 또한 (통신 3사 중 한 곳의) 지역망에서 발생한 오류의 전파를 막기 위해 가입자망을 독립적 시스템으로 구성하거나, 지역별로 분리할 계획이다. ‘접속 경로의 이중화’를 통해 유선망의 장애가 무선망 장애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고, 재난 시 활용 가능한 인터넷 접속경로를 확보한다.
굴착 작업에 의한 케이블단선, 정전, 화재 등 사고에 따른 장애 원인에 대한 유형별 대비도 강화된다. 케이블 단선에 대한 대응 1단계로 통신사, 협회 등이 수집한 굴착공사정보(웹 자동수집 등)에 대한 공유데이터베이스가 구축한다. 2단계는 중장기적으로 정보공유체계를 강화하고, 굴착 사고를 예방하는 입법도 검토할 예정이다.
정전 시에는 최소한의 통신 서비스 확보를 위해 옥내는 다중이용건물부터 비상전원단자 연결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옥외는 소형발전기 등을 추가로 확보해 예비전원이 확충될 계획이다. 아현사고 이후 추진 중이던 ‘통신망 이원화’, ‘전체 통신구 소방시설 보강’ 등 물리적 재난 대응도 지속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