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은행‧IT기업 뭉쳐 ‘금융권 DX 전환’

KT-우리은행-한국IBM, 금융권 AI 고도화 협력…‘AI 랩’ 구축

2021-05-06     양경숙 기자

우리은행 및 KT, 한국IBM이 AI뱅커 개발 등 ‘인공지능 혁신(AI Innovation)을 위한 삼각 동맹’을 체결했다.

3사는 ‘AI 랩’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욱 편리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금융 언어모델 고도화 ▲불완전판매방지 고도화 ▲AI 모델링을 통한 자산관리 종합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AI 전환 솔루션을 개발 및 도입한다.

황원철(가운데) 우리은행 디지털그룹장과 김준근(왼쪽) KT 전무, 송기홍(오른쪽) 한국IBM 대표이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우리은행)

이를 통해 우리은행의 금융 디지털 혁신에 힘을 모은다는 계획이다.이번 협약을 통한 3사의 주요 공동연구 및 개발과제는 ▲기업여신 심사 및 금리네고 자동화 등 업무 효율화를 위한‘AI 심사역’고도화 ▲불완전판매 탐지 시스템을 활용한 ‘AI 내부통제’ 강화 ▲인공지능과 딥러닝(Deep Leaning) 기반 ‘AI뱅커’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금융서비스 개발에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금융 언어모델 고도화는 금융권 음향/언어모델을 자연어처리(NLP) 신기술을 바탕으로 알고리즘을 딥러닝해 지속적인 학습으로 금융에 최적화된 언어모델을 만드는 것으로 목표로 한다.

또 최근 본격 시행된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따라 투자상품 권유 시 불완전판매를 방지하기 위해 AI로 금융 분야의 자연어 처리 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한다. 우리은행은 KT와 불완전판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을 한다.

자산관리종합시스템은 시장 예측에 기반을 둔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해 KT AI 모델링을 활용,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은행은 KT와 연계한 금융 상품 개발 및 프로모션 기획도 함께 진행한다.

이를 위해 3사는 공동연구 및 사업개발 실행체계인 ‘AI Lab’을 설립해 인공지능 사업의 기획단계부터 기술검증, 운영까지 협력해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출시 속도를 가속화하기로 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협약으로 디지털금융 경쟁력 강화는 물론, 개발 중인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의 완성도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에게 인공지능을 활용한 편리한 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속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T 엔터프라이즈부문 김준근 C레벨컨설팅본부장은 “AI랩을 통한 공동연구와 사업개발 등을 바탕으로 고객들이 AI를 활용한 혁신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발하겠다”며 “KT는 금융권의 디지털전환(DX)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