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기술혁신‧가상진료가 의료산업 혁명 주도”
글로벌 의료산업 수익, 2조6000억달러 이상 전망
앞으로 의료산업은 기술 혁신 및 가상 진료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구갈 것으로 보인다.
프로스트앤설리번이 발표한 ‘Vision 2025 Rising Healthcare Expenditures and Disproportionate Improvement in Patient Outcomes Spur Disruptive Changes in the Global Healthcare Industry’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2조달러를 기록한 글로벌 의료산업 수익 규모가 2025년에는 2조60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로 의료산업 내에서 AI와 원격의료가 급격히 발전했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10년간 의료 서비스 제공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다줄 것으로 보인다.
프로스트앤설리번 한국 지사 심진한 상무는 “코로나19 등장으로 글로벌 의료산업이 변화의 중심에 서 있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환자 중심으로 변화되는 메가트렌드와 AI, IoT 등의 혁신 기술들이 융합해 의료 생태계를 재편하고 있다. 가정 내 병원과 같은 새로운 활용 사례들이 응용되고 더욱 발전하면서 의료산업 내 혁신 기술 도입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과 인터넷 보급률이 높아져 이를 기반한 툴들이 의료 서비스 제공에 더 많은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의료비 상승과 대면 진료가 감소하는 추세가 환자들의 건강 관리를 가상으로 할 수 있는 디지털 환자 참여 툴 사용을 더욱 활성화시켰다. 기술 혁신과 가상 진료로 변화하면서 임상 결정과 의료 서비스 제공 재편, 산업 성장 지원에 있어 환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은 환자 중심의 가상 지원 시스템을 응용해 모바일 기기로 환자들에게 음성 또는 텍스트 질문에 응답을 유도하고 최신 환자 정보에 지속적인 액세스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임상 권고 단계에서 환자 정보를 고려할 수 있는 기능을 영상 장비 내 탑재해 환자 특이 상태에 관한 효과적인 진단과 최상의 치료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데 지원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와 mHealth 웨어러블, 애플리케이션, 진단방식의 혁신을 통해 환자 선별 및 진단, 치료 과정을 지원할 수 있으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파이오파마 기업들은 틈새 AI 및 데이터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환자 맞춤형 치료법에 대한 내부적 R&D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약물 설계와 개발을 가속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대량의 사후 분석 데이터 파일 처리를 자동화시켜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사후 분석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이용해 게놈 워크플로우도 간소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