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가져온 2차 메기 효과 '삼성SDI 목표가↑'
SK증권,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가 70만원 상향
SK증권은 30일 삼성SDI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유지와 목표주가를 70만원으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SK증권 김영우 연구원은 “기존 완성차 업체들이 하이브리드 차량에 매진하던 시절, 테슬라가 가져온 전기차 혁명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2022년부터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고, 2023년 출시하겠다는 2만5000달러의 보급형 모델 발표로 2차 메기 효과(Catfish Effect)가 발생했다”면서 “완성차 업체들의 입장에선 고가에서 저가 차량까지 전기차 풀라인업을 갖추어야 하지만, 배터리 수급은 가장 큰 골칫거리다. 테슬라와 토요타 정도를 제외하면, 경쟁력 있는 배터리 양산도 쉽지 않은 문제”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GM, 포드 등의 업체들이 배터리 생산을 시작하더라도, 실제로는 기존 2차전지 업체들 대비 원가 경쟁력 확보는 매우 불투명하다. 이에 완성차 업체들은 2차전지 업체들 및 주요 소재업체들과 비즈니스를 확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전기차 가격 다양화 시 전기차 수요 급증은 불가피하다. 이에 자동차용 2차전지 및 ESS 수요는 중장기적으로도 긍정적 시각을 유지한다”고 전했다.
소형전지는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가 불가피하나, 수익성은 견조할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올해 4분기 영업이익도 1조3000억원이 예상됐다. 김 연구원은 “삼성SDI의 아쉬운 부분은 보수적 설비 투자 기조이나, 중장기적 영업 환경 개선에 대한 기대로 투자도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SDI의 2021년 주가는 전기차 육성 정책을 드라이브하는 국가별 정책과 완성차 업체들의 보급형 전기차 프로젝트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될 것이나, 이미 거의 모든 완성차 업체들이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 이후 공격적인 전기차 확판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면서 2차전지 공급부족은 길게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