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머신러닝, 지도학습 기술을 인간학습에 접목…‘에듀테크의 진화’
개인 특성 맞는 맞춤형 어댑티브 러닝‧VR학습‧LMS 등 다양한 발전
AI의 머신러닝이나 빅데이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의 어댑티브 러닝이나 VR 체험학습, MOOC, LMS 등 에듀테크(EduTech)기술과 산업이 날로 발달하고 있다.
이처럼 교육 및 학습 분야에 IT 기술을 이용하는 서비스나 SW, 앱 등이 전성기를 구가하는 시대다.
에듀테크는 주로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는 쌍방향 학습 시스템인 ‘e러닝’의 기술 영역은 물론 그 기술 및 구조까지 포함한다. 즉 e러닝이 진화하고 발전한 것이 에듀테크라는게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VR 통한 가상체험에 의한 학습
VR, 즉 가상현실을 구축하는 기술에 의해 고글 등의 전용기기를 통해 시각적으로 유사한 현실 공간을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장소 및 시간,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유사 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건설 업계의 건설 기계의 운전을 연습하기 위한 자재 및 기계, 의료 업계의 수술을 훈련하기 위한 도구 및 유사 환자 치료, 슈퍼마켓이나 소매점에서 접객 및 작업 순서를 배우는 체험, 경비회사의 화재 및 피난 유도 등 위험 상황 재현, 자동차 업계의 부품 조립방법을 배우는 연수 등이 그런 경우다.
또 교육 분야에서는 우주 정거장이나 만리장성, 인간의 체내 등 실제로 체험할 수 없는 장소를 유사 체험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즉 현실에서는 준비하기 어려운 환경 및 공간을 구축함으로써 가상 체험을 미리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전세계적 무료 온라인 ‘무크’의 대중화
MOOC도 날로 대중화되고 있는 대표적인 에듀테크 기술이다. 이는 ‘Massive Open Online Courses’의 약칭으로서 인터넷상에서 무료로 강의를 시청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원래는 해외에서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해,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에듀테크의 대표적인 방식이다. 이는 대체로 무료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고 수료증을 통해 학습 성과가 증명된다.
지난 2012년에 미국에선 현재의 MOOC를 대표하는 MOOC 플랫폼인 ‘Udacity(유다시티)’ ‘Coursera(코세라)’ ‘edX(이디엑스)’가 잇달아 만들어졌다. 이들 중 Coursera와 edX에 수 백만 명이 등록하면서 세계적인 규모의 고등 교육 기반으로 발전했다.
국내에선 K-MOOC, e-koreatech, postech mooc, edwith가 있고, 대학교 자체 개발 서비스인 KOOC(카이스트), MOOCs(연세대), COOC (중앙대), U-MOOC(울산대) 등이 있다.
맞춤형 교육과 학습 ‘어댑티브 러닝’
어댑티브 러닝은 말 그대로 배우는 사람에 맞춰(적응) 최적의 학습 방법을 구축하는 방식이다. 이는 AI의 지도학습이나 러신머닝 기술을 인간에게 적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즉 개성과 기질의 차이를 무시하고 ‘다 같이 배우는 것’을 전제로 하던 기존 학습방식을 벗어난 것이다.
즉 어댑티브 러닝에서는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이력을 축적하고 그에 대한 분석‧판단에 근거하여 최적의 학습 경험과 교재를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판단에 있어 중요한 기술이 교육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과 같은 기술이다.
빅데이터는 다양한 형식의 대량의 디지털 데이터이며, 이를 분석함으로써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ㆍ방법을 가리킨다. 또한 인공지능은 지적인 처리를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며 적응적인 학습 내용을 판단하고 선정하는 기능을 담당하다. 어댑티브 러닝은 교육 분야뿐 아니라 기업이나 조직의 인재를 육성하는 데에도 활용되며 신인 교육이나 사원의 동기부여, 스킬 향상에도 활용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의 필수 도구 ‘LMS’
LMS는 ‘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서 학습 관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e러닝을 포함해 온라인 학습 및 교재는 각자가 배울 뿐 아니라 각자가 배운 결과나 진척 상황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LMS에서는 각각의 학습에 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뿐 아니라 학습하고 있는 사람 모두의 학습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효율적인 학습 방법 및 교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즉 e러닝을 통해 연수 및 학습 결과, 진척 상황을 관리함으로써 전체의 연수 및 학습 효과를 계측할 수 있고 연수나 학습의 효과를 가시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