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뉴딜’에 9천억 원 투입
과기정통부, 3차 추경안 따라 비대면사업 지원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Untact)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ICT와 과학분야에 약 9천억 원이 투입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따라, 모두 27개 사업과 기금에 8천925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93.3%인 8천324억 원은 '디지털 뉴딜' 추진에 쓰인다.
정부는 디지털 경제의 근간이 될 데이터를 수집·분석·유통할 빅데이터 플랫폼과 센터를 당초 올해 100개 구축할 예정이었는데 405억 원을 더 투입해 150개로 늘리기로 했다.
또 489억 원의 추경으로 중소기업·스타트업 등을 위한 AI 데이터 가공 지원을 늘리고, AI 학습용 데이터도 확대한다.
대학 등 연구기관에 데이터 엔지니어 일자리를 2천 개 신설하고 교육 체계도 구축하기 위해 300억 원을 투입한다. 연구 안전을 위해 연구실 유해인자 전수조사도 진행하고, 연구실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대규모 공공 데이터 인프라를 위해 348억 원을 투입해 과학기술 기계학습(머신러닝) 데이터를 구축할 방침이다. 모든 산업 분야에 5G와 AI의 융합을 확산하는 데도 1천371억 원이 추가로 투입된다. 정부는 중소기업에 AI 솔루션 구매 등을 지원하는 바우처 사업을 대폭 늘리고, 공공 영역에 5G 서비스와 인프라를 시범적으로 확산하겠다는 목표다.
5G·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확산을 위해서는 인력 양성이 필수적이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콘텐츠 제작 지원과 AI·SW 인재 양성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AI·블록체인 등 핵심 기술의 실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200억 원을 투입해 'ICT 이노베이션스퀘어'가 조성된다. 특히 수도권보다는 지역 위주로 올해 6천800명의 인력을 양성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산업계 경영진과 중간 관리자급 인력을 대상으로 AI 교육을 지원해 제조·자동차·의료 등 기존 산업에서도 디지털 인력을 육성하기로 했다.
지역 디지털 인프라도 확충하는데, 올해 농어촌 마을 650곳에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고, 공공 와이파이 장비를 교체·확대하기로 했다.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양자암호통신망' 사업에 올해 150억 원을 추가 투입해 행정망·국가통신망·병원·스마트공장 등에 양자 네트워크를 시범 구축한다.
이와는 별도로 과기정통부는 'K-방역' 고도화에는 397억 원을 더 투입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후보 물질이 신속하게 임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연구 개발을 지원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기업 등이 보유한 기술로 이동형 클리닉 시스템과 스마트 감염보호장비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윤수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