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파업 이틀째, 장기화 우려
국토부 "산정 근거 없다" 강경
철도노조 파업이 이틀째를 맞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21일부터 수도권 광역 전철은 평시 대비 82%로 운행한다고 밝혔다.
수도권 전철 1, 3, 4호선과 파주에서 출발하는 경의 중앙선, 분당선 등이 20% 가까이 줄어들면서 열차 혼잡과 이용객 불편이 속출하고 있다.
코레일은 출퇴근 시간대에 열차와 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출근 시간대는 92.5%, 퇴근 시간 84.2%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파업 첫날인 20일 어제는 수도권 전철이 평소 2,322대보다 줄어든 1,999대가 운행해 운행률 86.1%를 기록했다.
21일 KTX는 평시 대비 68.9% 운행하고, 일반 열차는 새마을호 58.3%, 무궁화호 62.5% 수준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철도노조의 요구 사항은 크게 4가지다. 4조 2교대 근무제 도입을 위한 인력 4천 명 충원과 임금 인상 등이 핵심 쟁점이다.
문제는 이런 요구사항을 코레일이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철도공사가 공공기관이다 보니 인력이나 예산 문제는 정부 기준을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사실상 인력 충원의 결정권을 가진 국토부는 산정 근거나 재원 대책 등이 부족하다며 강경한 입장이다.
김경욱 국토교통부 2차관은 지난 20일 정부세종청사 비상수송상황실에서 “무작정 산정근거나 재원대책 없이 증원하면 국민 부담이 있기 때문에 사측에서 충분한 근거와 자구적인 노력을 어떻게 할 것인지, 재원을 어떻게 할 것인지 구체적 내역을 제시하면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코레일 노사는 합의점을 찾기 위해 파업 기간에도 대화는 이어 간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핵심 쟁점에 대한 양측의 입장 차가 커 파업을 멈출 만한 묘수를 찾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철도노조는 주요 쟁점 사안은 이미 지난해에 노사가 합의한 것인 만큼 물러설 기미가 없는 것도 장기화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노조는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서 집회를 열고, 적극적인 협상 중재를 위해 민주당에 당정협의를 촉구할 계획이다.
윤수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