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 다음 ‘QLED 기술’…발빠른 진화 거듭
[애플경제=김홍기 기자] QLED 기술이 날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와 미국의 TCL 등 CES 2018에 출품한 각국의 기업들이 앞다퉈 이를 응용한 제품과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 저해상도 영상을 8K 수준 고화질로 변환해 주는 85형 8K QLED TV를 공개했다.
AI 고화질 변환 기술은 수백만 가지의 영상 장면을 미리 학습하고 유형별로 분석해 저화질 영상을 고화질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것이다.
우선 TV에 저화질 영상이 입력되면 TV스스로 밝기·블랙·번짐 등을 보정해 주는 최적의 필터를 찾아 고화질 영상으로 변환해준다.
삼성의 AI 고화질 변환 기술은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을 비교해 고화질 영상으로 변환 시 발생하는 계조(Gradation, 명암의 자연스러운 표현) 손실 없는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AI 기반으로 각 장면을 화질 특징에 따라 분류해 원작자가 의도한 세밀한 차이를 살릴 수 있도록 영역별로 명암비·선명도 등을 조정해 준다. 예를 들어 글씨 테두리에 번짐이 있다면 글씨가 있는 영역을 중심으로 또렷한 화면을 감상할 수 있도록 제어해 준다.
AI 고화질 변환 기술은 TV의 음향 역시 사용자가 별도의 기능 설정을 하지 않아도 영상 특성에 맞춰 자동으로 최적화해 준다.
스포츠 경기에서는 현장감을 높이기 위해 배경의 관중 소리를 높여 주거나, 콘서트 장면 등 음악이 나오는 영상에서는 저역대 소리를 강조해 풍부한 음향을 제공한다.
이 기술이 적용된 8K QLED TV는 올해 하반기에 65형 이상 대형 제품을 중심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한종희 사장은 “그 동안 8K TV가 있어도 콘텐츠 해상도가 뒷받침 되지 않아 소비자들의 불만이 있었는데, 삼성전자가 개발한 AI 고화질 변환 기술로 소비자의 시청 경험을 높일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시장을 선도하는 차별화된 기술 확보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TCL도 이번 전시회에서 85인치 QLED X6 등 제품과 기술로 관심을 끌었다. 이는 탁월한 화질을 자랑하며 돌비(Dolby) Atmos® 몰입형 사운드 기술을 사용했다. 또한 하먼카돈(Harman Kardon) 사운드 시스템을 장착했다.
C6는 UHD 스마트 TV로 WCG, HDR Pro 및 마이크로 디밍(Micro Dimming) 기술을 사용했으며, 하먼카돈 사운드바 및 DTS 프리미엄 사운드(DTS Premium Sound)를 채택했다. 안드로이드TV(Android TV, 7.0누가(7.0 Nougat) 운영체제로 출시, 수개월 내 8.0오레오(8.0 Oreo)로 업그레이드 예정) 기반의 C6는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옵션을 제공한다.
P5는 곡면 UHD 스마트TV다. 초슬림 화면과 6.9mm의 얇은 프레임이 특징이다.
6-시리즈는 4K HDR 화질 및 강력한 스텔스 메탈 디자인을 조합해 탁월한 TV 경험을 선사했다. 이 제품은 돌비 비전(Dolby Vision)을 지원하며, 6-시리즈는 새로운 음성 검색 기능을 갖춘 로쿠TV 보이스 리모트(Roku TV Voice Remote)를 동반했다. 새로운 5-시리즈는 탁월한 4K UHD 화질과 돌비 비전을 결합해 최고의 영상을 제공했다.
TCL 로쿠 스마트 사운드바(TCL Roku Smart Soundbar)는 2018년 후반에 출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