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잘 모르는 민속 이야기
천인천자문(千人千字文)
천인천자문(千人千字文)
돌상위에 올려…책속의 지혜가 자식에게 옮겨질 거라 믿음
천명이 각각 한 글자씩 쓰고, 이름과 도장을 찍음.
《천인천자문》은 천 사람이 한 자씩 써서 이루어진 천자문 책이다. 조선후기 양반 자식의 돌상위에 올려놓았다. 그렇게 하면 많은 사람의 지혜가 이 책을 통해 고스란히 자식에게 옮겨질 것으로 믿었다.
《천자문》은 중국 양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죄를 용서 받는 대가로 황제의 명을 받아 하룻밤 사이에 지었다고 한다. 하룻밤 사이에 이 글을 만들고 머리가 하얗게 세었다고 하여‘백수문(白首文)’이라고도 한다. 네 글자씩 묶어 250개의 문장으로 엮었는데 1,000자가 각각 다른 글자로 돼 있다. 서예의 성인(書聖)으로 존경받는 왕희지(王羲之)가 쓴 글자를 모아 만들었다.
천자문의 내용은‘천지현황(天地玄黃)’으로 시작하여‘언재호야(焉哉乎也)’로 끝난다. 자연현상이나 인륜, 도덕에 관한 내용이 짜임새 있게 구성됐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시대 이후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이 책이 우리나라에 전해진 연대는 백제 때 왕인(王仁)이《논어(論語)》10권과 함께 이 책 1권을 일본에 전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보다 훨씬 전에 들어온 것으로 추측된다. 그 후 천자문은 한문의 입문서로 필수 교과서처럼 사용됐다. 조선시대 선조 때의 명필 석봉(石峯) 한호(韓濩)가 쓴 《석봉천자문》이 제일 유명했다.
천인천자문을 보면 한 사람이 한 글자씩 쓰고, 그 글자 옆에는 쓴 사람이 자기 이름을 쓰고 도장까지 찍어 놓았다. 그 아래에는 한글로 뜻과 음을 달았다.
이 음과 훈 때문에 생긴 재미있는 일화도 있다. 천자문은 처음에 '하늘 천(天) 따 지(地) 검을 현(玄) 누를 황(黃)'을 읽고 나서,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다'며 뜻을 새겼다. 그런데 아이들은 하늘이 파란데, 검다고 하니 이상하여 선생님에게 물어 보아도 시원한 대답 없이 야단만 쳤다.
<춘향전>에 방자가 이 도령 앞에서 "높고 높은 하늘 천, 깊고 깊은 따 지, 홰홰친친 감을 현, 불타졌다 누를 황"이라고 읽었다.
그래서 조선 후기에 정약용 선생은 아동의 발달과정을 무시한 문자구성을 비판하며 천자문을 어린이들에게 가르쳐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여, 어린이들을 위한 한자 교과서인 《아학편(兒學編)》을 새로 엮기도 하였다. 하지만 천자문은 조선 시대 어느 집이나 가지고 있던 책이다.
어쨌든 천인천자문은 보통의 정성으로는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당시 글을 아는 사람은 대부분 양반이었고 양반 천명을 직접 만나서 천자문의 한 글자 한 글자씩 받았을 것이다. 기간도 1년은 족히 걸렸으리라 여겨진다.
가문을 이을 아들이나 손자를 얻었으니 얼마나 기뻤을까. 내 아들이 무탈하게 자라서 열심히 글을 익혀 과거에 급제하기를 간절히 바랐을 것이다. 더불어 가문을 빛내 주리라 기대하면서 갖은 정성을 들였으리라 생각된다.
이창준(민속 연구가)